[서비스 기획] 서비스 기획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1. 서비스 기획자의 조건
기획의 정의
문제가 되는 상황에 대해 정의를 내리고, 그것이 진짜 문제인지 ‘데이터’와 ‘MECE(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 중복과 누락 없이 문제를 분석하는 원칙)’와 같은 문제해결 기법으로 판별해 내고,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을 만들어 가는 과정
‘기획을 잘한다’는 것은 남들보다 탁월한 결과물을 내는 걸까? 아니면 문제를 정의하는 과정을 찾는 것일까?
1. 기획을 잘한다는 것은 문제를 정의하는 과정을 찾는 것
문제의 정의가 잘못되면 아무리 해결책이 좋아도 목적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기획을 잘하는 사람들은 문제를 정의하고 본질을 찾는 과정에 3/4 이상을 투자한다.
2. 기획은 끊임없이 문제를 찾아가는 과정
문제의 본질을 찾고 정의를 내리는 과정은 다시 ‘문제(현상 자체)’와 ‘문제점(그 현상이 발생하게 된 배경)’을 구분하는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문제점’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 문제첨을 찾기 위한 방법 ]
- 5WHY 문제해결 기법 : 더는 왜라고 질문할 수 없을 때까지 질문하는 것
문제의 원인에 대해 땅굴을 파듯이 계속해서 규명해 보면 최종 원인에 해당하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3. 기획력을 기르는 가장 쉬운 방법
기획력이란?
구조적 사고(Structured Thinking, 아직 형태가 없는 큰 문제에 대해 문제해결 프레임을 씌우는 과정)를 기르고 생각을 정리하는 힘을 말한다. 쉽게 말해 복잡한 문제를 쉽게 정의 내리고 핵심원인을 진단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5WHY의 생활화 연습]
아무도 궁금증을 제기하지 않았던 현재의 상태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현재 도입된 정책이나 서비스 기능, 사회 현상이 왜 그렇게 되었는지에 대한 원리를 탐구해 나가는 과정이 일상처럼 자리잡고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