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TUDY/#5 웹기획

디스크립션 | 디스크립션의 정의

by 조반짝 2025. 4. 11.
728x90
반응형

디스크립션의 정의

디스크립션(Description), 즉 '기능 설명'은 단순히 화면에 보이는 내용을 정리하는 게 아니다.
화면에 있는 스토리보드(Storyboard)에 다양한 시각적 정보가 담겨있지만 움직임이 없다.

 

● 움직임(Movement) : 클릭 시 보이지 않는 행동이나 화면의 구조에서 이뤄지는 액션

스토리보드만 보면 화면이 어떻게 생겼는지는 알 수 있지만, 
클릭하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 지,
어떤 데이터를 불러오는 지,
어디로 이동하는 지는 보이지 않는다.
즉, 유저의 액션에 따라 벌어지는 반응(움직임)이 빠져있다.

 

움직임을 명확히 정의해줘야 개발자나 디자이너가 정확히 구현할 수 있다.

디스크립션은 화면 속 "행동과 흐름"을 정의하는 설명서라고 할 수 있다.

 

① 이동하는 행동
사용자의 클릭, 터치에 따라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행동

movement
출처 : 당근대장_디스크립션 강의

 

 

② 데이터로 이뤄지는 움직임
페이지 진입 시 자동으로 배너, 추천상품, 아이콘 등 데이터가 채워지는 것을 정의

data
출처 : 당근대장_디스크립션 강의

 

반응형

③ UI/UX로 이뤄지는 움직임
화면 간의 전환 효과, 데이터가 언제/어떻게 호출되는 지 같은 동작
"스크롤 시, 리스트 하단에 다음 페이지 데이터 자동호출(infinite scroll) 등...
각 탭을 클릭 했을 때 콘텐츠 내용이 어떻게 변이가 되는 지 정의를 내려야한다.

contents
출처 : 당근대장_디스크립션 강의

 

 

위에 3가지 움직임을 기준으로 반드시 "포인트"로 명확히 정의되어야 한다.

point
출처 : 당근대장_디스크립션 강의

 

기획자가 화면을 설계할 때 단순히 "여기 버튼 있음"이 아니라.
"이 버튼을 누르면 어떤 일이 일어난다"까지 정의해야 한다.

정확히 작성하지 않으면
개발자는 의도대로 구현할 수 없고,
디자이너는 사용자 경험을 완성할 수 없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