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 STUDY/#5 웹기획17

IT 트렌드 2025 : 2025 IT 키워드 10 IT 트렌드 2024 다시보기[웹 3]1. 메타버스 2. AI 3. 블록체인 [주목해 봐야 할 키워드]1. 소셜미디어 2. 업무 깊숙이 들어오는 생성형 AI  3. 21세기 원유데이터 4. 공장에서 일상으로의 로봇 5. 글로벌화의 핀테크 6. 아바타 생태계 7. 돌파구를 찾는 OTT 8. 춘추전국의 이커머스 9. 재도약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10. 미래의 기술 양자 컴퓨팅AILLM(large language model): 대규모 언어 모델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뿐아니라 앤스로픽, 코히어등 비교적 규모가 작은 스타트업에까지 영역이 점차 커졌고, 다양한 국가에서 만들고 있다. LLM 이 오픈소스로도 공개되고 있어서 이를 이용해 작은 LLM도 다양한 산업, 기업의 입맛에 맞게 만들어지고 있다. LLM은 이제.. 2025. 1. 27.
Google SEO 최적화 • Google 사이트맵사이트맵은 사이트에 있는 페이지,동영상 등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이며 구글과 같 은 검색엔진은 이 파일을 읽고 사이트를 더 효율적으로 크롤링을 할 수 있습니다. 즉, 사이트맵이 제대로 등록이 되어야 구글 검색엔진에 노출이 되기에 매우 중요한 부분 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맵 등록방법은 서치콘솔(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에서 “새 사이트맵 추가"에서 할 수 있습니다. • Google 크롤링/크롤러크롤링이란 새로 업데이트 된 웹페이지를 찾는 것이며, 크롤러는 웹에서 페이즈를 가 져오기 한 다음 색인을 생성하는 자동 소프트웨어입니다. 구글 서치콘솔은 웹 크롤링, 색인 생성 관리 도구, 사용자 링크, 검색어 트래픽, 인덱싱 상태를 검사할 .. 2025. 1. 26.
SEO란 무엇인가? SEO는 검색엔진을 뜻하며 네이버/구글 검색창에 검색어를 검색하면 검색엔진 이 해당 검색어의 알고리즘을 찾아서 가장 신뢰성 있으면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페이지를 나타내는 것 입니다. 인터넷상에는 무수한 정보가 있는데 거기서 내가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개발된 것이 "검색엔진입니다.즉, 검색엔진은 인 터넷에서 검색 시 사용자(방문자가 원하는 정보를 좀 더 찾기 쉽게 도와주는 시 스템이라 보면 됩니다. 웹 사이트 마다 로봇이 있는데 그 로봇이 사이트에 대한 정 보를 수집합니다.구글로봇은 "구글봇"이 네이버는 네이버 로봇인 "예" 다음 로봇은 "다우모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각각의 웹 사이트의 로봇이 각자의 방식대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가 검색엔진를 통해 키워드를 입력하면 웹 사이트 로봇이 설정.. 2025. 1. 25.
[웹 기획]웹 크롤링하기_엑셀변환 1. 크롤링 하려는 웹 페이지 url 복사2. 엑셀 열기  3. 데이터 > 웹 클릭 > url 붙여넣기 > 확인 4. 테이블 클릭 > 로드 4. 크롤링 완료 2024. 11. 1.
[웹 기획] 웹 접근성 이해와 국가표준 지침 소개3 지침8 - 키보드 사용 보장모든 기능은 키보드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준수 원칙 1.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키보드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  기대 효과1. 위치 지정 도구를 사용할 수 없는 시각 장애인이나 지체장애인의 경우에도 키보드만으로도 웹 콘텐츠나 웹사이트가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지침9 - 초점 이동키보드에 의한 초점은 논리적으로 이동해야 하며,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준수 원칙 1. 웹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키보드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 입력 간의 초점 이동은 적절한 순서를 따라야 하며, 이 과정에서 콘텐츠는 조작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거나 갑작스러운 페이지의 전환 등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2. 초점을 .. 2024. 10. 31.
[웹 기획] 웹 접근성 이해와 국가표준 지침 소개2 지침3 -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콘텐츠는 색에 관계없이 인식될  수 있어야 한다/  준수 원칙 1.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특정한 색을  구별할 수 없는 사용자, 흑백 디스플레이 사용자, 흑백 인쇄물을 보는 사용자 및    고대비 모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  기대 효과1. 색의 차이가 정보의 다름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색을 인지하는데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혼동을 일으킬 염려가 없으며,    흑백 스크린(구형 PDA 등) 또는 고대비 모드 사용자도 콘텐츠의 내용이나 구조를 손쉽게 이해할 수 있다.    지침4 - 명확한 지시 사항 제공지시 사항은 모양, 크기, 위치, 방향, 색, 소리 등에 관계없이 인식 될 수 있어야한다.  준수 원칙 1. 콘텐츠의 사용에 필요한 지시 사항을.. 2024. 10. 22.
728x90
반응형